팔뚝, 허벅지, 배까지 쓸 수 있는 부위와 주의할 점 총정리
요즘 뷰티 디바이스 중에서 ‘실사용 만족도’ 높은 제품 중 하나가 바로 듀얼소닉 맥시멈이죠.
저도 처음에는 얼굴 리프팅용으로만 알고 있었는데,
알고 보니 바디 라인 관리에도 꽤 괜찮다는 걸 알게 됐어요.
그런데 기기가 강력한 만큼,
“이걸 정말 허벅지나 배 같은 데도 써도 되는 걸까?”
하는 고민도 당연히 생기죠.
그래서 오늘은 듀얼소닉 맥시멈의 바디 사용 가능 부위와 주의할 점을
정리해보려고 해요.
✔️ 바디에 사용 가능한 부위는?
공식적으로 안내된 사용 가능한 부위는 다음과 같아요:
- 팔뚝 안쪽 (처지는 부위)
- 복부 (단, 배꼽 주변은 주의)
- 허벅지 안쪽 또는 셀룰라이트가 고민인 부위)
- 무릎 위쪽, 무릎 안쪽 살 접히는 부위
- 팔꿈치 위 살, 등살 등
즉, 피부가 부드럽고 얇지만 탄력이 떨어지기 쉬운 부위에는
저출력으로 사용하면 꽤 좋은 반응이 있어요.
특히, 허벅지 안쪽이나 팔뚝살 같은 데는
고주파 + 초음파가 주는 ‘딱딱한 살 풀어주는 느낌’이 체감됩니다.
❗ 주의해야 할 부위는?
하지만 모든 바디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.
피부 아래에 내장기관이 밀접하게 위치한 부위나,
뼈가 바로 드러나는 부위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.
- ❌ 배꼽 주변 2cm 이내
- ❌ 갈비뼈 바로 위쪽, 가슴 아래 라인
- ❌ 골반뼈, 무릎뼈 등 뼈 돌출 부위
- ❌ 심장 근처나 복부 깊은 곳 (특히 위, 간 위치)
이런 부위는 내부 장기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
제조사에서도 ‘사용 금지’라고 명시하고 있어요.
또한 눈 주변, 목젖, 갑상선 부위, 입술, 코뼈도
얼굴 관리 시 피해야 할 민감 부위입니다.
❗ 왜 안되는걸까!?
1. 지방층이 얇고 충격 흡수가 어렵기 때문
보통 이런 뷰티 디바이스는 피부 아래 ‘지방층’을 자극해서
열에너지를 전달하거나,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원리야.
근데 뼈 돌출 부위는 지방층이 거의 없어서
에너지가 피부 깊숙이 흡수되지 않고 뼈에 바로 닿을 수 있어.
→ 이러면 화상, 통증, 멍, 염증 등이 생길 수 있어.
2. 고주파나 초음파가 뼈에 반사되기 때문
기기의 에너지는 조직의 밀도 차이에 따라 반사되거나 흡수돼.
근데 뼈는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서,
기기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그대로 반사되면서 주변 조직에 자극을 줘.
→ 특히 신경이 가까운 부위는
통증, 저림, 붓기 등의 신경 자극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.
3. 혈관이 많은 부위일수록 위험
갈비뼈 주변, 무릎뼈 위 같은 곳은
얇은 피부 아래 혈관이나 신경이 많고 민감한 부위야.
이런 곳에 고주파나 강한 에너지를 쏘면
붓기나 멍이 생기기 쉽고, 회복도 오래 걸려.
✔️ 안전하게 바디에 사용하는 팁
- 충분한 젤 도포
– 블루밍젤이나 초음파 젤을 넉넉히 발라
기기가 피부에 미끄러지듯 닿게 해줘야 자극이 줄어요. - 강도는 ‘약’부터 시작
– 바디라고 해도 처음엔 무조건 약강도에서 시작하세요.
(바디용이라도 5강 이상은 꼭 피부 적응 후!) - 넓은 면에 천천히 밀듯 사용
– 같은 자리에 오래 머물지 말고
지그시 눌러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게 핵심 - 사용 후 보습은 필수
– 바디도 리프팅 후엔 건조해질 수 있어서
바디로션 or 탄력크림 같이 발라주면 효과가 배가돼요.
🌀결론: 바디도 가능하지만, 사용법은 꼭 지켜야 해요
듀얼소닉 맥시멈은 얼굴 리프팅뿐만 아니라
바디 탄력 + 라인 관리용으로도 꽤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요.
다만 내장기관이 위치한 깊은 복부나, 뼈 돌출 부위는 피하고,
꼭 젤을 바르고, 약강도로 시작하는 것,
그리고 지속적으로 동일 부위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.
나만의 홈케어 루틴에 듀얼소닉을 넣고 싶다면,
얼굴 + 바디를 분리해서 루틴을 나눠 쓰는 것도 추천드려요 :)
'궁그매요궁그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PT로 풍수지리 궁합 보는 법 (내 사주랑 집 방향 맞춰보기) + 프롬프트 포함 (0) | 2025.04.08 |
---|---|
싱크홀은 왜 갑자기 생길까? – 땅속은 생각보다 ‘비어있는 공간’이 많다 (0) | 2025.03.27 |
비가 오고 나면 산불 위험이 줄어드는 게 아닐까? (0) | 2025.03.27 |
[미래] 2040년도 유망직업은 무엇일까? (1) | 2024.08.12 |
[사회] 어떻게 메탈밴드는 2024 파리 올림픽 개막식 공연을 할 수 있었을까? (0) | 2024.07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