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챗GPT 기능 가이드] 한 달에 몇 번? 심층리서치 질문 가능 횟수 & 요금제별 정리
이제는 단순한 “질문-답변형 AI”를 넘어,
복잡한 리서치를 AI에게 시키는 시대.
ChatGPT가 제공하는 ‘심층리서치(Deep Research)’ 기능은
질문을 주면, AI가 여러 웹페이지를 뒤져 자료를 수집하고,
논리적으로 정리해 ‘하나의 리포트’를 만들어주는 고급 기능이다.
하지만 이 기능, 아무 때나 무한정 쓸 수 있는 건 아니다.
요금제에 따라 사용 횟수 제한이 명확히 정해져 있고,
그에 따라 Lite/Full 모드로 구분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.
💬 먼저, ‘심층리서치’란?
“AI가 사람 대신 인터넷을 깊게 조사해, 다각도의 정보와 출처를 갖춘 ‘종합 답변’을 만들어주는 기능”
기존의 일반 답변 기능과는 다르게,
ChatGPT는 이 기능을 위해 질문을 분석하고
다단계 조사 계획을 수립해,
실제 웹페이지·논문·뉴스 등을 직접 읽어 분석한다.
출처까지 명확하게 첨부된다.
그만큼 처리에 시간이 걸리며
(보통 5~15분 소요), 사용 횟수 제한이 존재한다.
✅ 요금제별 심층리서치 질문 가능 횟수 (2025년 4월 기준)
무료 (Free) | 월 5회 (또는 없음) | 경량 Lite 모드로 제한적 체험 가능 (상시 제공 아님) |
Plus ($20/월) | 25회 | 가장 대중적인 유료 플랜. 한도 초과 시 Lite 모드로 전환 |
Team | 25회 | 조직용 플랜, 기본 사용량은 Plus와 동일 |
Enterprise | 25회 (조정 가능) | 필요시 사용량 협의 가능, 커스텀 가능성 있음 |
Pro (상위 플랜) | 250회 | 전문가/기업 대상, 고빈도 리서치 사용자용 |
- 이 숫자는 Full(정식) 심층리서치 모드 기준임
- Lite 모드 사용은 별도 카운트 X, 즉 25회 초과 후에도 사용 가능
출처: openai.com, techcrunch.com
🔍 “Lite Research”와 “Full Research”의 차이는?
사용 모델 | 고성능 GPT-4(o3 기반) | 경량 GPT(o4-mini 기반) |
응답 시간 | 5~15분 소요 | 1~5분 이내 |
응답 내용 | 다각도 분석 + 긴 리포트 | 요약 위주, 간단한 인용 |
사용 한도 | 월간 제한 있음 | 제한 없음 (무제한 또는 탄력적) |
대상 | 복잡한 분석, 논문, 정책 해석 | 빠른 브라우징 요약용 |
→ 요약하자면,
Full 모드 = 고급 리포트 / Lite 모드 = 빠른 요약 정리
둘 다 심층리서치 기능의 일종이며,
Full은 사용량이 제한되고, Lite는 “무제한 보조 기능”처럼 쓰인다.
📊 내가 쓴 리서치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?
ChatGPT 웹 또는 앱의 사이드바에서
리서치 기록이 자동으로 남는다.
- 리서치 실행 시, 오른쪽에 “검색 키워드, 단계 요약, 출처 리스트” 등이 표시됨
- 질문이 Full 모드로 실행되었다면, 리서치 1회 차감됨
- 만약 빠르게 답변이 나왔다면 → Lite 모드였을 가능성 높음 (카운트 안 됨)
Tip:
👉 설정(Settings) > Usage > 심층리서치 실행 횟수 확인 가능 / 아니면 직접 대화창에 리서치 로그 확인요청 물어봐도 됨
📌 이런 질문은 심층리서치에 어울려요
- “2024~25년 한국 Z세대의 SNS 소비 패턴 분석해줘”
- “최근 10년간 반도체 산업 투자 흐름과 국가별 기술 격차”
- “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생태계에 미친 영향, 논문 정리해줘”
- “화장품 브랜드 디올·샤넬의 ESG 전략 비교 분석”
일반 AI 대화로는 어려운 주제들.
단순 답변이 아닌 ‘논리 + 출처 + 종합 요약’이 필요할 때,
심층리서치가 제 역할을 한다.
📍 마무리 요약
- 플러스 요금제는 한 달 25회 Full 리서치 가능
- 그 이후엔 Lite 모드로 계속 사용 가능 (제한 없음)
- 정확한 사용량은 설정 > 사용량(Usage) 메뉴에서 확인
- 복잡한 질문일수록 심층리서치가 강력한 힘 발휘
지금 내가 한 달에 몇 번이나 이 기능을 쓸 수 있는지,
실제로 차감됐는지 헷갈릴 땐 →
한 번 리서치 로그를 살펴보는 것도 추천!